지하철 개찰구를 통과하는 시민들 <자료사진=연합뉴스>
내년에 대중교통 정액패스가 도입되고 지역사랑상품권이 약 24조 원 규모로 발행됩니다.
오늘(29일)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`민생경제 회복과 사회연대경제 기반 구축` 부문에 총 26조 2,000억 원을 책정했습니다.
먼저 대중교통 정액패스 신설에 따라 대중교통비 환급 예산이 올해 2,375억 원에서 5,274억 원으로 늘어납니다.
대중교통 정액패스는 월 5∼6만 원으로도 지하철, 버스 등을 월 20만 원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. 청년, 어르신, 다자녀·저소득자는 5만 5,000원, 일반인은 6만 2,000원을 부담하면 됩니다.
수도권 광역급행철도(GTX)와 광역버스를 포함하면 부담 비용은 각각 9만 원, 10만 원으로 오릅니다.
K-패스는 어르신 대상 환급률이 기존 20%에서 30%로 상향 조정됩니다.
K-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월 최대 60회(하루 최대 2회)까지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주는 서비스입니다.
아울러 정부는 1조 1,500억 원을 투입해 24조 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지원하고 국비 보조율을 상향 조정합니다.
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<자료사진=연합뉴스>
기존 2%였던 국비 보조율은 수도권은 3%, 비수도권은 5%로 오르고, 인구감소지역은 5%에서 7%로 상승합니다.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예산 4,000억 원이 반영돼 역대 최대 규모인 4조 5,000억 원이 발행될 예정입니다.
사회적기업, 마을기업 등 지원 사업에는 약 2,000억 원이 책정됐습니다.
사회적기업 지원은 창업자금 제공(300억 원), 취약계층 고용 인건비 지원(321억 원), 일자리 매칭 등 지역문제 해결 지원(137억 원) 등으로 나뉘며, 마을기업에 대해선 130개 사를 선발해 성장자금 5,000만 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.